갤럭시s2 -> Note2
이렇게 사용해서 사실상 안드로이드폰을 많이 사용해보진 않았습니다.
그럼에도 삼성이라는 기업의 내로라 하는.
삼성의 간판역할을 했었던 제품들을 사용해보며 느끼는 바를 말하고자 합니다.
[갤럭시S2]
진저브레드는 단순히 안정적인 측면에선 완벽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추후로 나왔던 ICS와 젤리빈 초기 펌에선 상당히 곤욕스러웠었죠.
ICS는 초기부터 추후의 수정 및 보완펌이 나왔음에도 개인적으로 만족스럽지 못했었습니다.
기술은 앞당겨가는데 안정감은 뒤쳐지기 시작함을 이때부터 느끼지 않았나 싶습니다.
추후에 나오는 젤리빈 펌.
초창기 시절엔 상당히 불만이었습니다. ICS와 젤리빈을 사용할 바에 진저펌을 선택해서 사용했을 정도로 젤리빈 펌에도 불만이 많았습니다.
심지어 순수 삼성 펌웨어를 사용하기만 했던 제가 커스텀 펌웨어를 올리는 행동을 선택할 정도로 진저브레드 이후 펌웨어들에 대해선 좋은 평가를 내리기가 어렵네요.
그만큼 진저브레드 펌웨어가 갤럭시 S2 기종에서 안정성 및 배터리 효율이 상당히 뛰어났었습니다.
갤럭시 S2를 쓰면서 펌웨어적인 부분이 아닌 불만이었던 부분은 디스플레이였던 것 같네요
디스플레이를 제외한 부분에서 불만은 없었습니다.
[Note2]
노트2를 구입 후 슬슬 안드로이드에 대해 갸우뚱해지기 시작합니다.
최초 OS로 젤리빈을 바로 사용했으며 갤럭시S2 + 진저브레드 만큼의 안정성을 느꼈습니다.
노트2 + 4.1 젤리빈 = 갤럭시S2 + 진저 2.3.4
느끼는 바는 위와 같았습니다.
다만 Note2를 사용하면서 삼성 OS에 불만이 느껴졌던 부분은
1. 신 기술의 탑재
말 그대로 Note2에서 S-Pen을 이용한 활용성 및 멀티 태스킹 기능이 강화되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여전히 S-Pen은 일반인이 사용하기에 '실제 연필처럼 능숙하게 사용하는 것엔 무리'였으며 멀티 태스킹 또한 '허술한 반쪽자리 기능'으로 느껴졌습니다.
S-Pen을 사용시 빙판위에 스케이트가 아닌 롤러 브레이드를 타는 느낌이었습니다.
종이 + 펜 = 안정감과 친숙함
빙판 + 스케이트 = 안정감과 친숙함
빙판 + 롤러 브레이드 = 불안정함 위험천만
즉 디스플레이 + S-Pen을 사용하기에는 S-Pen의 교정이 불안정하다는 겁니다.
그로인한 엉망진창의 펜터치 및 필기감.
이건 Note2를 사놓고 S-Pen의 사용을 꺼리게되는 1순위 역할을 했습니다.
또 한 에어뷰 기능이 존재하나 여전히 큰 화면에 S-Pen만을 사용해서 쓰기엔 터무니없이 부족하다는 겁니다.
그나마 최근에 펜 윈도우 등의 기능이 Note3 제품에 정식 탑제되어 취약했던 S-Pen 기능을 보완했으나 여전히 부족합니다.
사용자가 Note2 폰을 단순히 '손'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닌 'S-Pen'만으로 모든 것이 가능하도록 좀 더 보완해야 합니다.
지금의 Note 시리즈 제품들은 단순히 '큰 디스플레이의 폰 + 악세서리 S-Pen' 일 뿐입니다.
앞으로는 '큰 디스플레이를 S-Pen으로 완벽 제어 하는 폰'으로 진화해야합니다.
2. 멀티 윈도우
어찌보면 가장 보완이 느리다고 생각되는 부분입니다.
정식 OS에선 모든 Application이 멀티 윈도우 앱으로 사용할 수 없을 뿐더러 심지어 UI적인 측면이나 멀티 윈도우 기능 On, Off시의 기능이 너무 부실합니다.
단순히 하나의 화면을 쪼개어 2개의 화면을 보여주는 역할만을 수행하고 있으며 애니메이션은 특히나 부실하기 짝이 없습니다.
하루빨리 보완되어야 할 기능 중 하나입니다.
지금의 멀티 윈도우 기능은 그저 아마추어 개발자가 개발해내어 포팅해놓은 기술이라 생각될 뿐입니다.
위와 같이 S사의 안드로이드 폰을 사용해보며 느꼈었던 부분이며
공통적으로 안드로이드 OS를 사용하며 느끼는 부분은 여전히 Beta OS적인 느낌이 강하다는 겁니다.
완벽한 체계에서 개발 완료 및 실 사용에 가능한 OS는 나오지 못하고 있습니다.
아무리 자유분방함이 안드로이드 OS의 가장 큰 장점이라 한 들 불안정 및 Beta 적인 느낌을 계속해서 준다면 분명 한계가 오기 시작할겁니다.
사용자는 비싼 거금을 주고 불안정한 제품을 살 의무는 없으며 아무리 비싸더라도 좀 더 안정적인 제품을 사는게 당연한겁니다.
단순히 개인적으로 느끼고 생각했던 부분이며 태클이나 반론은 안받습니다.